Programming Languages(81)
-
문자열 다루기
2.4 문자열 다루기2.4.1 C 스타일 문자열C 스타일 문자열은 널 종료 문자(\0)로 끝나는 문자 배열입니다:#include #include // C 스타일 문자열 함수int main() { // 문자열 선언 및 초기화 char greeting[20] = "Hello"; // 크기가 20인 문자 배열 char name[] = "홍길동"; // 크기가 자동으로 결정됨 (7바이트 + 널 문자) // 문자열 길이 구하기 int length = strlen(greeting); // 5 std::cout C 스타일 문자열의 단점:버퍼 오버플로우 위험메모리 관리의 어려움문자열 조작의 불편함2.4.2 std::string 클래스C++의 std::strin..
2025.03.27 -
입출력
2.3 입출력2.3.1 표준 입출력 스트림C++에서는 헤더에 정의된 스트림 객체를 통해 입출력을 처리합니다:std::cout: 표준 출력 (콘솔에 출력)std::cin: 표준 입력 (키보드로부터 입력)std::cerr: 표준 오류 (오류 메시지 출력)std::clog: 표준 로그 (로그 메시지 출력)#include int main() { // 표준 출력 std::cout 2.3.2 스트림 조작자출력 형식을 제어하는 조작자(manipulator):#include #include // 조작자를 위한 헤더int main() { double pi = 3.14159265359; // 고정 소수점 표기와 정밀도 지정 std::cout 2.3.3 기본 입력 처리#include ..
2025.03.27 -
연산자
2.2 연산자2.2.1 산술 연산자기본적인 수학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자입니다:int a = 10, b = 3;int sum = a + b; // 덧셈: 13int difference = a - b; // 뺄셈: 7int product = a * b; // 곱셈: 30int quotient = a / b; // 정수 나눗셈: 3 (소수점 이하 버림)int remainder = a % b; // 나머지: 1// 실수 나눗셈 (소수점 결과를 얻기 위함)double result = static_cast(a) / b; // 3.333332.2.2 증감 연산자변수의 값을 1씩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킵니다:int x = 5;x++; // 후위 증가: x는 이제 ..
2025.03.27 -
변수와 자료형
2.1 변수와 자료형2.1.1 기본 자료형C++에는 다양한 기본 자료형이 있습니다. 자료형은 데이터의 종류와 크기를 정의하며, 컴퓨터가 메모리를 어떻게 할당하고 해석할지 결정합니다.정수형 자료형자료형 설명 일반적 크기 값 범위 예시int기본 정수형4바이트-2,147,483,648 ~ 2,147,483,647int age = 25;short작은 정수형2바이트-32,768 ~ 32,767short count = 100;long큰 정수형4/8바이트±9.2억/±9.2경long population = 8000000L;long long매우 큰 정수형8바이트±9.2경long long distance = 9876543210LL;부동 소수점 자료형자료형 설명 일반적 크기 정밀도 예시float단정밀도 부동 소수점4바이트~..
2025.03.27 -
C++ 소개
1: C++ 소개 1.1 C++의 역사와 중요성C++는 1979년 Bjarne Stroustrup에 의해 개발되었으며, C 언어에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. 처음에는 "C with Classes"라고 불렸으나, 1983년에 "C++"로 이름이 변경되었습니다. C++라는 이름은 C 언어에서 증가 연산자(++)를 사용한 것으로, C에서 한 단계 발전했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.C++의 주요 발전 단계:1998년: 첫 번째 ISO 표준 (C++98)2003년: 기술적 수정 (C++03)2011년: 주요 업데이트 (C++11) - 현대적 C++의 시작2014년: 개선 (C++14)2017년: 추가 기능 (C++17)2020년: 최신 표준 (C++20) 1.2 C++를 사용하는 이..
2025.03.27 -
연결 리스트(Linked List)
연결 리스트(Linked List)1. 개념연결 리스트는 각 노드가 데이터와 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로 구성된 선형 자료구조입니다. 각 노드는 메모리 상에서 연속적으로 저장되지 않고, 포인터를 통해 다음 노드와 연결됩니다.2. 연결 리스트의 특징동적 크기: 실행 시간에 크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.삽입/삭제 효율성: 특정 위치에서의 삽입과 삭제가 O(1) 시간 복잡도로 수행됩니다.임의 접근 비효율성: 특정 위치의 요소에 접근하기 위해 O(n) 시간이 필요합니다.메모리 사용: 각 노드마다 데이터와 포인터를 저장하므로 배열보다 더 많은 메모리를 사용합니다.3. 연결 리스트의 종류3.1. 단일 연결 리스트(Singly Linked List)각 노드가 데이터와 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가집니다.class..
2025.03.2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