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rogramming Languages(81)
-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집합 (Sets)집합 (Sets)집합은 순서가 없고, 중복된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컬렉션입니다. 집합은 수학적 집합 연산(합집합, 교집합, 차집합 등)을 지원합니다. 중괄호 {}를 사용하여 표현하지만, 빈 집합은 set()으로 생성해야 합니다.집합 생성하기# 빈 집합 생성 (주의: {}는 빈 딕셔너리를 생성)empty_set = set()print(type(empty_set)) # # 값이 있는 집합 생성fruits = {"apple", "banana", "cherry", "apple"} # 중복된 "apple"은 한 번만 저장됨print(fruits) # {'banana', 'cherry', 'apple'} (순서는 보장되지 않음)# 다른 시퀀스로부터 집합 생성numbers = set([1, 2, 3, 2, 1].. 2025.03.26
-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딕셔너리 (Dictionaries)딕셔너리 (Dictionaries)딕셔너리는 키(key)와 값(value)의 쌍으로 이루어진 자료구조입니다. 각 키는 유일해야 하며, 이를 통해 값을 빠르게 검색할 수 있습니다. 중괄호 {}를 사용하여 표현합니다.딕셔너리 생성하기# 빈 딕셔너리 생성empty_dict = {}empty_dict2 = dict()# 값이 있는 딕셔너리 생성student = { "name": "김철수", "age": 20, "major": "컴퓨터공학", "gpa": 3.8}# dict() 생성자로 딕셔너리 생성person = dict(name="이영희", age=25, job="개발자")# 리스트의 튜플 쌍으로 딕셔너리 생성items = [("apple", 3), ("banana", 5), ("oran.. 2025.03.26
-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시퀀스 타입의 공통 연산시퀀스 타입의 공통 연산리스트와 튜플은 모두 시퀀스 타입이므로 다음과 같은 공통 연산을 지원합니다.# 문자열도 시퀀스 타입list_ex = [1, 2, 3]tuple_ex = (4, 5, 6)string_ex = "hello"# 연결 (concatenation)print(list_ex + [4, 5]) # [1, 2, 3, 4, 5]print(tuple_ex + (7, 8)) # (4, 5, 6, 7, 8)print(string_ex + " world") # "hello world"# 반복 (multiplication)print(list_ex * 3) # [1, 2, 3, 1, 2, 3, 1, 2, 3]print(tuple_ex * 2) # (4, 5, 6, 4, 5, 6)print(s.. 2025.03.25
-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튜플 (Tuples)튜플 (Tuples)튜플은 리스트와 유사하지만, 한 번 생성하면 변경할 수 없는(immutable) 자료구조입니다. 소괄호 () 안에 쉼표로 구분된 항목들을 나열하여 만듭니다.튜플 생성하기# 빈 튜플 생성empty_tuple = ()empty_tuple2 = tuple()# 값이 있는 튜플 생성numbers = (1, 2, 3, 4, 5)fruits = ("사과", "바나나", "체리")mixed = (1, "Hello", 3.14, True)# 단일 항목 튜플은 쉼표가 필요single_item = (42,) # 콤마 필수!not_tuple = (42) # 이건 튜플이 아닌 정수print(type(single_item)) # print(type(not_tuple)) # # 소괄호 없이도 튜플 .. 2025.03.25
-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파이썬의 얕은 복사(Shallow Copy)와 깊은 복사(Deep Copy)파이썬의 얕은 복사(Shallow Copy)와 깊은 복사(Deep Copy)파이썬에서 객체를 복사할 때 이해해야 할 중요한 개념이 얕은 복사(Shallow Copy)와 깊은 복사(Deep Copy)입니다. 이 두 가지 복사 방식의 차이를 이해하지 못하면 예상치 못한 버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1. 객체와 참조의 기본 개념파이썬에서 변수는 실제 데이터를 직접 저장하지 않고,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위치를 가리키는 참조(reference)를 저장합니다. 이를 이해하기 위한 간단한 예를 살펴보겠습니다.a = [1, 2, 3] # 리스트 생성b = a # b는 a와 같은 리스트를 가리킴# b를 통해 리스트를 수정하면 a도 영향을 받음b[0] = 99print(a) # [99, 2, 3]pr.. 2025.03.25
-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리스트 (Lists)리스트 (Lists)리스트는 파이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자료구조로, 여러 항목을 순서대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. 대괄호 [] 안에 쉼표로 구분된 항목들을 나열하여 만듭니다.리스트 생성하기# 빈 리스트 생성empty_list = []empty_list2 = list()# 값이 있는 리스트 생성numbers = [1, 2, 3, 4, 5]fruits = ["사과", "바나나", "체리"]mixed = [1, "Hello", 3.14, True] # 다양한 데이터 타입 포함 가능리스트 인덱싱과 슬라이싱리스트의 각 항목은 인덱스(위치)를 통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.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합니다.fruits = ["사과", "바나나", "체리", "딸기", "오렌지"]# 인덱싱 (특정 위치의 항목 접근)print.. 2025.03.25